본문 바로가기
세계역사 훑어보기

07 중국 문명 : 삼황오제, 황허 강, 하-은-주, 갑골문, 봉건제

by 꼬북11 2023. 4. 15.
728x90
반응형

황허는 중국에서 창장강(양쯔강) 다음으로 긴 강입니다. 강물은 북서쪽 황토고원에 쌓인 황토 먼지를 싣고 내려와 강의 중하류 강바닥에 전달했고 홍수 때가 되면  범람하여 주변 땅을 비옥한 평원으로 만들어 주었어요. 이 황허 강 유역에서 중국 최초의 국가가 등장하게 됩니다.

물이 누렇다(黃), 황허

 

중국의 신화시대 - 삼황오제 신화

삼황오제는 중국 고대 신화에 등장하는 제왕들로, 세 명의 황과 다섯 명의 제를 말합니다. 이들 여덟 명의 제왕은 중국 문명의 시조로 추앙되었으나 현대 역사학계는 이 신화가 후대에 창조되어 부풀려진 것으로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이 1990년대 이후 국가주의, 민족주의를 강화하면서 삼황오제를 비롯한 신화 속 인물들을 실존 인물로 만들기 위한 연구를 계속해 나가고 있어요. 

 

요임금과 순 임금

 

삼황오제에 대한 설은 통일되지 않아 여러 버전이 존재합니다. 먼저 삼황사냥과 불 다루는 법을 가르친 복희, 농사를 가르친 신농, 집 짓는 법과 옷 짜는 법을 가르친 황제 헌원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어지는 오제소호, 전욱, 제곡, 제요, 제순으로 특히 마지막 두 왕인 제요와 제순의 시대는 태평성대를 이루어 지금도 '요순시대'라는 말이 널리 쓰이고 있죠. 오제 시기는 주로 왕위를 선양(좋은 사람을 뽑아 넘겨줌)했으나 순 임금은 자신의 아들에게 왕위를 넘겼고 이로써 중국 최초의 세습 왕조, '하'가 탄생하였습니다. 아버지 순 임금에게 왕위를 물려받은 우 임금이 하 왕조의 시조가 되는 거죠.

 

하 왕조

하 왕조의 시작은 기원전 2천 년 경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사실, 한동안 하 왕조는 <사기> 같은 역사책 속에 '있었다'는 기록만 있을 뿐 실제 존재의 증거가 없었기에 '전설의 왕조'라고 불렸어요. 그런데 최근, 1970-80년대 유적 발굴을 통해 하 왕조로 추정되는 유물과 유적들이 발굴되며 실제 존재를 믿기 시작하게 됩니다.

 

상(은) 왕조

하 왕조는 폭군 걸왕을 마지막으로 멸망하고 기원전 1600년경, 상 왕조가 세워집니다. 유물을 통해 증거가 확인된 역사가 드디어 시작된 거죠. 걸왕을 정벌하고 상을 세운 탕왕은 요순을 잇는 성군의 대표주자입니다. 나라 이름이 두 개인데, <사기>에는 '은'으로 기록되어 있고 순 임금이 탕의 선조에게 하사했던 '상'이라는 땅에서 일어났기에 '상'이라고도 불립니다. 상은 여러 차례 천도를 하는데, 은허는 그 여러 수도 중 하나이며 '폐하가 된 은의 도시'라는 의미로 근대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바로, 황허 강 주변의 '은허'라는 곳에서 엄청난 유물과 유적들이 발견되었습니다. 청동기로 만들어진 각종 도구들이 쏟아져 나왔죠. 이 은허 유적에서 발굴된 또 하나의 중요한 유물이 있습니다. 갑골문입니다. 상 나라 왕은 나라의 중요한 일을 결정할 때, 예를 들어 전쟁을 할까? 농사가 잘 될까? 등을 하늘에 신의 뜻을 점쳐서 결정했다고 해요. 이런 정치를 뭐라고 불렀죠? 이집트의 파라오와 같은 스타일의 정치, 왕이 신에게 권력을 받아 정치하는 신권정치입니다. 바로 그 점을 쳐서 결과를 기록한 흔적이 갑골문입니다. 일단 '갑'은 거북이 배딱지, '골'은 동물의 뼈입니다. 이 갑골에 구멍을 판 뒤 구멍을 불로 지져요. 그럼 열을 받은 구멍이 팽창하면서 금이 가게 되는데 이렇게 생긴 금의 모양을 해석해 점괘를 냈고 이걸 그 점친 갑골에 기록해 놓았어요. 그래서 이 문자를 갑골문자라고 부릅니다. 이 문자가 오늘날 중국에서 사용하는 한자의 원형이라고 합니다.

한자의 원형이 된 상나라의 갑골문자

 

그러나 상 나라 마지막 왕인 주纣왕은 너무 사치스러웠어요. 하의 걸왕과 마찬가지로 '달기'라는 여자와 주지육림(술연못과 고기 나무)에 빠져 나라를 파국으로 이끌었습니다. 결국 상은 기원전 11세기쯤 새롭게 나타난 주 왕조에게 멸망합니다.

 

상(은)과 주의 세력 범위

 

주 왕조

주의 무왕은 기원전 11세기경 상을 무너뜨리고 황허 유역을 차지했습니다. 강상(강태공)이라는 유능한 신하가 건국에 결정적 역할을 했죠. 주 왕조는 영토를 계속 넓혀 황허 아래 창장강 유역까지 다스리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왕은 이렇게 넓어진 영토 전체를 다스릴 힘이 아직은 부족했어요. 자신은 수도 주변만 다스리기로 하고, 자신의 친척인 왕족이나 공을 세운 신하(공신)를 제후로 임명해 땅(봉토)과 그 땅의 백성들을 주고 '이 땅은 네가 다스려라'며 지배권을 주었습니다. 주 건국에 공을 세운 강태공도 제나라의 제후로 봉해졌죠. 봉토를 받은 제후는 왕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곡식과 군대(공납)를 바칩니다. 이 제도의 이름이 있어요. 지역을 나누어 왕실 사람들과 공신에게 지배권을 주는 제도, 봉건제라고 부릅니다. 제후들은 자기 땅에서 경, 대부, 사 등의 지배계층과 행정조직을 만들어 봉토를 다스렸습니다. 주나라의 봉건제는 왕과 제후가 혈연관계로 맺어져 있었어요. 친척인 거죠. 그런데, 시간이 지나 그 아들의 아들, 그 아들로 내려가면서 점차 먼 친척이 되고 혈연관계가 약해집니다. 제후들은 이제, ’내가 꼭 왕에게 충성해야돼? 내가 왕하면 안돼?‘라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주의 봉건제는 시간이 흐르며 이렇게 동요하기 시작합니다.

주의 봉건제


요순시대 : 중국 고대 전설상의 요 임금과 순 임금의 시대. 이상적인 정치로 백성들이 평화롭게 살았던 태평성세의 시대

걸주 : 하의 걸왕과 상의 주왕을 가리키는 말, 폭군과 주색에 빠진 포악무도의 대명사

728x90
반응형

댓글